새소식

알고리즘/기초수학

집합론 - 명제와 논리

  • -
💡 유튜브 이상엽Math 를 보며 정리한 글입니다.

 

명제와 증명


1️⃣ 명제와 연결사


명제

참, 거짓이 분명히 판단되는 문장

 

단순 명제

p,q,r 등의 기호로 나타내며, 단일 명제를 의미

ex. 사과는 과일이다.

 

합성 명제

몇 개의 단순 명제들이 연결사에 의해 결합된 명제

ex. 사과는 과일이고 바나나도 과일이다.

 

연결사

단순 명제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다음과 같은 기호로 나타냅니다.

연결사

 

 

2️⃣ 진리표


명제의 진리값을 표로 나타낸 것으로 5가지 연결사들에 대한 진리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진리표 , T = True , F = False

 

💡 부가 설명

 

진리집합이란 해당 명제가 참이되도록 하는 모든 원소들의 집합입니다.

 

명제 p의 진리집합은  p → P 로 나타냅니다.

ex. p : ~는 과일이다.   P = { 사과, 포도, 바나나 } 

 

이 때, p 가 F라는 의미는 진리집합 P에 해당하는 원소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U(전체집합) - P 가 아닌 ∅ (공집합)을 의미합니다.

 

더불어, p -> q는 Q에 P가 포함되는지를 묻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위 표의 4가지 경우를 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p = T  , q = T  : P가 Q 에 포함되므로 참이 된다.
  • p = T , q = F : Q가 공집합이므로, 공집합에 포함될 수 없으니 거짓이 된다.
  • p = F , q = T  / p = F , q = F : P는 공집합이며 공집합은 다른 집합에 항상 포함되기 때문에 참이 된다.

 

p ↔ q는 두 진리집합이 같은 지를 묻는 것으로 둘 다 T 거나 , F(공집합)이면 같으므로 참이고, 하나라도 다르면 거짓입니다.

 

연결사의 연산 순서는 ~ , ∧ , , → , ↔ 이고 괄호가 있다면 괄호를 먼저 처리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논리연산자와 동일합니다.)

 

다음은 알아두면 좋을만한 항상 참인 식 입니다.

  • p → q ≡ ~p ∨ q
  • ~(p q) ≡ ~p ∨ ~q  : 드모르간 법칙
  • p → q  ≡ ~q → ~p  : 대우 법칙
  • (p ∨ q) V r  ≡ p ∨ (q ∨ r)  : 결합 법칙
  • p ∨ (q ∧ r) ≡ (p ∨ q) ∧ (p ∨ r)  : 분배 법칙

 

이와 관련된 법칙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3️⃣ 연역적 추론


진리표의 경우, 간단할 때 사용하지만 길어질 경우 검증할게 많아집니다. 그래서 수학적인 추론 방법을 사용하는데 그중 하나가 연역적 추론입니다.

 

연역적 추론

이미 알고 있는 판단을 근거로 새로운 판단을 유도하는 것

 

 굳이 T,F를 하나하나 비교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위의 항상 참인 식들에서 알아본 법칙들을 이용해서 연역적 추론으로 구해내면 빠르게 구해낼 수 있습니다. 

 

 

명제 함수


1️⃣ 명제함수와 한정기호


명제함수

변수 x가 결정되어야만 참, 거짓이 판단되는 문장을 의미하며, p(x)와 같은 형태로 나타냅니다.

 

여기서 x의 범위를 대상영역 혹은 모집단(U) 이라고 합니다.

 

한정기호

전칭기호 ∀ : for every , 모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함

ex. ∀x, p(x) : 모집단 모두가 x에 해당

 

존재기호 : for some , 모집단 일부를 대상으로 함

ex.∃x, p(x) : 모집단 일부가 x에 해당(적어도 1개 이상 존재, 어떤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2️⃣ 명제의 부정


두 명제 p와 q에 대해, x의 모집단은 건드리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4가지 원리를 모두 적용합니다.

아래는 서로 반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 ↔
  • ∧ ↔ ∨
  • p ↔ ~p
  • < ↔ ≥

 

다음은 예시 입니다. 

  • ∀x , p(x) → 성공 행복 ∀x , ~p(x) ∨ (성공  행복) 
  • 위를 부정 : ∃x , ~( ~p(x) ∨ (성공 행복) ∃x , p(x) ~(성공  행복)  ∃x , p(x)  (~성공 ~행복)

 

 

함의와 동치


1️⃣ 항진명제와 모순명제


항진명제

모든 논리적 가능성의 진리값들이 참인 명제로 t로 나타냅니다.

여기서 t는 모집합을 의미하며 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모순명제

모든 논리적 가능성의 진리값들이 거짓인 명제로 c로 나타냅니다.

여기서 c는 공집합을 의미하며 거짓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함의와 동치


함의

항진인 조건문 p → q를 논리적 함의라 하고 p => q로 나타내며 p는 q의 충분조건, q는 p의 필요조건이라 합니다.

 

동치

항진인 쌍조건문 p ↔ q를 동치라 하고 p <=> q로 나타내며 p와 q는 서로의 필요충분조건이라 합니다.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